해양설계에 해당하는 글 4

PDMS 명령어 - 두번째 시간

PDMS|2014. 4. 15. 20:45

AID TEXT 'NAME' AT 'POS'

현재 화면상에 MARK CE 처럼 원하는 속성의 값을 뿌려 줍니다.

MARK CE 와 다른 점은 갯수에 상관없이 자유자재로 뿌려 줄수 있습니다.

 

AID CLEAR ALL

현재 뿌려준 속성값들을 모두 지워줍니다. AID TEXT 와 함께 사용 되어 집니다.

 

Q DESC / Q PURP

역시 Q POS와 마찬 가지로 DESC 값을 보거나 PURP 값을 보여 줍니다.

 

UNCLAIM ALL

한 객체를 다중 사용자가 한번에 수정을 하려 한다면 먼저 선행으로 수정된 사람에가 CLAIM이 걸리게 됩니다.

그 CLAIM은 먼저 수정한 사람이 풀어 줄수 가 있습니다. 그 명령어가 UNCLAIM ALL이 되겠습니다.

CLAIM 풀어 달라고 전화도 오니까 숙지하세요 ㅎㅎㅎㅎ

 

SAVEWORK

현재 수정된 부분을 모두 저장합니다.

SAVEWORK UNCLAIM ALL 항상 같이 타이핑 하는 습관을 가지세요

 

RENAME /XXXX

현재 선택 되어진 객체의 이름을 변경해 줍니다.

줄여서 REN /넣고 싶은이름 이렇게도 사용 가능합니다.

 

INCLUDE /NAME

현재 선택 되어진 객체를 /NAME 부분의 객체로 이동 시켜 줍니다.

즉 A라는 멤버에 있는 객체들을 B라는 객체로 명령어를 통해 옮겨 줄수 있습니다.

아주 유용한 명령어 입니다.

 

Q ATT

속성 보기의 종결자 모든 속성들을 나열해 줍니다.

 

CONN TO PREV

이전 멤버에 자동으로 붙습니다.

즉 TRAY MODELING 시 현재 객체를 이전 객체에 자동으로 연결 시켜 줍니다.

HEAD TAIL 기준으로 명령어가 작동합니다.

주로 기본 툴에 포함되어져 있습니다. 버튼으로 하지만 명령어는 반드시 숙지하세요

 

Q POSS POSE

역시 POS 값을 보는 명령어 이지만 다시한번 적어본 이유는

POSS / POSE 때문입니다. 객체들 중에서 SCTN FTUB 등은 POS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유인 즉 유저가 사용하면서 늘리고 줄이는 객체들은 POS START 와 POS END값이 존재하고

그걸 유저들이 값을 수정하면서 모델링 상에 길이가 변하게 되어 있습니다.

Q POS 로 ERROR가 출력된다면 그건 POSS POSE값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댓글()

PDMS 명령어 - 첫번째 시간

PDMS|2014. 4. 15. 20:33

ADD ALL WITHIN VOL CE

현재 객체를 중심으로 주위에 모든 객체들을 보여줍니다.

ADD ALL WITHIN VOL CE 숫자 <-- 숫자들이 범위를 말해줍니다.

EX)ADD ALL WITHIN VOL CE 100

EX)ALL SCTN WITHIN VOL CE 100

객체 범위 100 주변에 SCTN 만 보여줍니다.

응용해서 사용해 보세요

 

ADD CE

객체를 화면상에 추가 시켜 줍니다.

현재 EXPLORER 에 선택되어져 있는 객체를 화면상에 추가해줍니다.

EX) ADD CE COL 색상표

색상표의 값은 주로 숫자로 1~100 더 존재함 구성되어져 있습니다.

구중에 원하시는 값을 정해주시면 되겠습니다.

ADD CE COL 1 OR ADD CE COL RED

 

ADD SITE / ZONE / EQUI

PDMS에서 사용 하시다 보면 EQUI / ZONE 등안에 MEMBER들을 수정하고 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그럴때 다시 상위로 EXPLORER를 클릭하기 보다는 상위 멤버를 알고 계신 다면

바로 ADD SITE / ZONE 등을 입력해주시면 되겠습니다.

 

MARK CE

현재 선택 되어져 있는 객체의 이름을 뿌려 줍니다.

많은 객체들이 화면에 존재할때 색상으로도 표현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럴때 사용하는 명령어가 되겠습니다.

UNMARK CE 현재 뿌려진 CE의 이름을 제거해줍니다.

UNMARK ALL <<-- 더 유용합니다. 객체를 선택안해도 현재 마크를 지워줍니다.

 

ROTATE BY 60 ABOU E

회전 명령어가 되겠습니다.

각도 60도를 EAST 방향으로 회전 시켜라는 명령어가 되겠습니다.

아주 많이 사용하는 명령어 입니다. 숙지하고 계십시요

 

BY E 100

이동 명령어가 되겠습니다.

EAST 방향으로 100 이동하라는 명령어 입니다.

EAST / WEST / NORTH /SOUTH / UP / DOWN 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Q POS

현재 선택되어진 객체의 POS값을 보여 줍니다.

Q 뒤에 모든 속성들이 올수 있으며 그에 해당하는 POS값을 COMMAND 창에 보여줍니다.

 

EXT END TO ID@

STRU에서 많이 사용 되는 명령어가 되겠습니다.

확장하라 END값을 내가 클릭한곳에 라고 풀이해 볼수 있습니다.

현재 선택되어진 SCTN의 END 포지션을 마우스로 클릭한 지점까지 늘려줍니다.

 

DELETE CE

현재 선택되어진 객체를 삭제합니다.

하지만 명령어가 안될 경우도 존재하기에

DELETE EQUI / STRU 등 현재 타입을 넣어주면 삭제가 됩니다.

 

LOCK ALL

현재 선택되어진 객체를 LOCK 합니다.

LOCK 걸리면 타인이 수정이 불가하므로 중요한 MODEL등 혹은 FIX된 MODEL등을 LOCK으로 수정 방지 할수 있습니다.

'PD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L 사용가능한 환경 적용 방법  (0) 2014.04.16
PDMS 명령어 - 두번째 시간  (0) 2014.04.15
인터페이스 소개 TOOL 소개  (0) 2014.04.08
PDMS - STRUCTURAL DESIGN USER GUIDE  (0) 2014.04.07
CE란 객체란 - PDMS 개념  (2) 2014.04.07

댓글()

PDMS - STRUCTURAL DESIGN USER GUIDE

PDMS|2014. 4. 7. 19:35

 

PDMS 관련 STUCTURAL DESIGN USER GUIDE

영어로 작성 되어져 있지만 그래도 볼만 합니다.

구조 설계하시는 분들은 참고 하세요 

 

 

STRU 소개

STRU란 구조 혹은 플랫폼 강재 등을 표현하는 PDMS 한 객체입니다.

STRU 안에는 TMPL SCTN PANE 등 MEMBER가 적용됩니다.

SCTN은 강재를 표현해줍니다 ANGLE BEAM 등의 강재를 표현하는데 쓰이는 객체로서 길이 및 모양을 변경하는데 사용 되어집니다.

흔히 CATA라는 모델을 SCTN 속성값에 넣어주므로써 그 모양의 SCTN을 형성하고 MODELING을 하는 사람들은 그 CATA를 기본으로 길이 및 크기를 변경하며 사용 하게 됩니다.

PANE이라고하면 PANEL을 표현하고 흔히 구조상 PLATE를 적용 시켜줍니다. TMPL은 SCTN PANE 등을 표현하는 객체를 다시한번 묶어줄수 있는 폴더같은 역활을 해줍니다.

이밖에도 다음 문서에는 모든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철의장의 플랫폼이나 래더를 모델링 을 하시는 분들은 꼭 한분 보시길 바랍니다 .

물론 다른 직능 이신 분들도 한번씩은 꼭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전장과 기장 등 모든 분들이 SUPPORT MODELING 이나 SEAT MODELING 등에서 모든 속성들을 사용 하기때문에 꼭한번씩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 문서는 도움말 PDMS 도움말에 있는 글을 PDF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PDMS 자기 직능에서만 뛰어난 사람이 되면 제 생각에서는 그닥 메리트가 없다고 생각 됩니다.

모든 직능의 툴 및 사용법 이모든 것이 조합되어졌을때

MODELING을 하는 수준은 정말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STRU의 특성을 알고 EQUI 안에 SCTN을 적용 시키거나 BOX 대시 PANE을 사용 한다거나 더많은 지식이 편리한 PDMS 를 사용 하게 해줄것입니다.

 

 

 

structural design user guide.pdf
다운로드

 

'PD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PDMS 명령어 - 두번째 시간  (0) 2014.04.15
PDMS 명령어 - 첫번째 시간  (0) 2014.04.15
인터페이스 소개 TOOL 소개  (0) 2014.04.08
CE란 객체란 - PDMS 개념  (2) 2014.04.07
PDMS - PDMS란 PML 소개  (1) 2014.04.06

댓글()

PDMS - PDMS란 PML 소개

PDMS|2014. 4. 6. 16:18

PDMS는 3D프로그램으로서 주로 조선설계 해양 설계에서 사용 되어지고 있습니다.

물론 다른 분야에서도 사용되어지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많이 사용 되는 분야가 아닐까 생각되어집니다.

AVEVA KOREA 에서는 교육도 실시하며 현재 사용현황이 점점 늘고 있는 상황입니다.

허나 배우고 싶은 분들은 라이센스등의 난관에 부딛이게 되어 쉽게 접해 볼수 없는 프로그램이라고 생각 되어집니다.

미리 공부를 한다는 것도 힘든부분이 존재합니다.

 

그럼 오늘은 간단하게 PDMS의 대해 글로 한번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PDMS라고 하면 FULL 3D MODELING 프로그램으로써 DB와 연결되어져 있습니다.

DB를 사용 하므로서 여러사람들의 작업이 실시간으로 반영되어지고 바로 바로 FEEDBACK 할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모듈에는 GENERAL / CABLING / CABLE TRAY / PIPE / SCHE /등이 존재하고 자신의 속한

직능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 가능합니다.

 

EQUIPMENT 를 MODELING 하시는 분들은 EQUI 모듈을 사용 하시면 그에 해당하는 툴들이 나오고

CABLE TRAY를 모델링 하시는 분들은 그에 해당하는 TOOL이 나오게 되어있습니다.

허나 PDMS의 강력한 장점중 하나가 유저가 직접 TOOL제작을 해서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남들은 여러번 클릭하고 하나하나 수작업이 필요한것을 툴을 개발할수 있는 분들은 버튼 클릭한번으로

모든 작업을 완료 할수도 있습니다.

 

그걸 도와주는것이 PML이라는 PDMS 언어입니다. PDMS 에는 수많은 명령어들이 존재합니다.

그걸 모두 버튼화 할수도 있거 여러번 사용해야하는 명령어들을 버튼 하나에 모두 합칠 수도 있습니다.

또한 PDMS 를 사용 하는 업체마다 업체 개발툴이 있어서 기본툴을 제외한 다른 TOOL들은 모두

다릅니다. 그

에 해당하는 사용법을 익히셔야합니다.

물론 PDMS 의 기본 툴은 강력합니다. 기본툴을 모두 익히셨다면 개발 툴역시 기본을 응용하여 만들었기에

기본에 충실했던 분들은 금방적용해서 일을 진행할수 있습니다.

현재 PML 관련 자료는 구하기가 그리 쉽지 않습니다.

혼자 독학을 하면서 이리저리 찾아보고 하면서 배우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그만큼 그 만족감은 상당히 큽니다. 같은 일을 하면서 더욱쉽고 빠르게 일을 수행해낸다면

모든 사람들의 관심사가 되어지고 작업능력에 대해 좋은 평가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아는 내용이라고 쉽게 넘기지 마시고 다시 기본을 다지면서 차례대로 배워나가도록 해주시기 바랍니다.

 

 

 

 

'PD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PDMS 명령어 - 두번째 시간  (0) 2014.04.15
PDMS 명령어 - 첫번째 시간  (0) 2014.04.15
인터페이스 소개 TOOL 소개  (0) 2014.04.08
PDMS - STRUCTURAL DESIGN USER GUIDE  (0) 2014.04.07
CE란 객체란 - PDMS 개념  (2) 2014.04.07

댓글()